키워드로 검색하세요
달라스 생활 길잡이, 코리아포탈이 함께합니다
제목
  우해면상뇌증(BSE)과 쇠고기 파동
작성자
김정구
작성일
2009-05-26
조회
7934

미국에서는 최근 3, 4년간 쇠고기의 소비량이 증가해 가격이 상승하고 있었다고 한다. 다이어트를 둘러싼 1권의 책이 베스트셀러가 된 것과 연관이 없는 것은 아니다. 이 다이어트에 관한 책은 곡물류등의 탄수화물보다도 고기등의 고단백 식품을 먹는 것을 권한 책이었다. 고기를 좋아하는 미국인에는 고마운「신탁」 이었을 것이다. 안심하고 스테이크를 탐낼 수가 있었다. 그야말로 붐을 불러 일으켰다. 70년대부터 제창해 온 아트킨스씨는 붐의 한창인 금년 4월에 사고로 인해 사망했다.

1권의 책으로 바뀐 사회의 흐름이 1마리의 소에 의해 또 변할지도 모른다. 미국 북서부의 워싱턴주에서 사육된 소가 우해면상뇌증(BSE)에 감염하고 있는 의혹이 있는 것을 알았다. 이 병의 원인이 되는 물질은 소의 뇌등에 축적되어진 이상 프리온이라고 불리는 단백질의 일종이다.

BSE가 발생한 나라가 20개국 이상이 되는데 미국은 세계 최대의 쇠고기 수출국이기에 그만큼 영향이 크다. 이로 인해서 한국이나 일본 그리고 멕시코는 미국산 쇠고기 주요 수입국으로 파문을 일으키고 있다. 우리나라는 수입 쇠고기의 4할이 미국산이었다. 설상가상이지 우리나라는 닭고기 오리고기등의 인플루엔자 재해로 수백만마리의 폐기 처분으로 타격이 너무 컸었다.

미국에서는 1억마리 가까운 소가 사육되고 있다. 그 중에 매년 3500만 마리 정도가 식육용으로 돈다. 9할이 미국 국내에서 소비되고 1할이 수출용이다. 일본에의 수출이 가장 많아 그 3할을 차지한다. 일본은 그외 뉴우질랜드나 호주의 쇠고기를 수입하고 있다. 일본 정부는 재빨리 미국산 쇠고기 수입 정지를 결정했다. 「유일한 동맹국이니까」등이라고 하는 배려를 보이지 않았다.

일본이나 유럽에 비해 BSE의 검사가 완만한 미국이 어떤 대책을 강구할 것인가? 정부 고관등은「크리스마스에 비프를 먹습니다」라고 말하고 있었지만 물론 그래서 세계를 안심시킬 수는 없다. 테러로부터의 안전에 대해서는 저토록 신경을 쓰는 나라가 식품의 안전에 대해서는 얼마나 노력을 다할까?

단 1마리의 소가 세계로부터 주시되는 표적이 되어 정부나 마케트인 시장과 사람들의 식탁에까지 영향을 주는 시대이다. 그리고 정말로 단 1마리의 소인가가 가장 신경이 쓰이는 점도 된다.

어떠한 검사 체제를 정비해야만 쇠고기의 수입이 다시 재개될 수 있을까? 각국이 서로 검사의 기준을 밝히면서 국제적인 협의를 시작해야 할 시기가 아닐까? 소비자의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각국이 엄격한 검사 체제를 만들고 동시에 쇠고기 생산지나 사육법 등에 대해서 정확한 정보를 상품화되는 단계에서도 표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

 
로그인한 사용자만이 KP댓글을 입력하실 수 있습니다. 로그인 및 회원가입버튼은 상단우측에 있습니다.
소셜 로그인을 통해 댓글 입력이 가능합니다. 밑의 기능을 참고해주세요.
blog comments powered by Disqus
 
번호
제목
작성자
등록일
조회
1275
7가지
2010/08/05
8241
1274
우물가
2010/08/05
8079
1273
돌하루방
2010/08/05
8843
1272
마음의깨달음
2010/08/05
8265
1271
역삼각형
2010/08/05
9111
1270
좋은생각
2010/08/04
8944
1269
황금박쥐
2010/08/04
10347
1268
병아리
2010/08/04
8341
1267
희망새
2010/08/03
10913
1266
나의약속
2010/08/03
10241
1265
강아지교
2010/08/03
9702
1264
눈의빛
2010/08/02
9382
1263
빠리가라
2010/08/02
8557
1262
연필
2010/08/02
9307
1261
달맞이
2010/08/02
9046
1260
성공이란?
2010/08/01
9993
1259
2010/08/01
9817
1258
류시화시
2010/08/01
9520
1257
가자
2010/08/01
9331
1256
날으는강아지
2010/08/01
85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