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로 검색하세요
달라스 생활 길잡이, 코리아포탈이 함께합니다
제목
  치아미백을 위한 최선의 방법은?
작성자
티파니
작성일
2009-05-10
조회
6185


Click Image to Enlarge

하얀 치아를 가진 이를 보면 누가나 부러움을 느낀다. 그래서 이런 하얀 치아를 위해 치아미백에 관련된 제품을 이용하거나 전문의를 통해 치아미백술을 받는다.

치아미백술은 크게 '생활치 치아미백술', '실활치 치아미백술'로 나뉜다. 이중 생활치 치아미백술은 집에서 혼자 장치를 두시간정도 끼우고 저농도의 과산화수소겔을 도포하는 자가치아미백(홈블리칭), 치과에서 한시간정도 광조사를 쪼이면서 고농도의 과산화수소겔을 도포하는 전문가치아미백(오피스 블리칭) 등 두 가지가 있다.

그리고 실활치 미백술이란 부딪히거나 넘어지는 등의 사고, 신경치료한지 오래된 치아 등 치아가 죽었을 때 발생하는 치아변색을 다시 하얗게 만들고자 소듐퍼보레이트와 고농도의 과산화수소를 치아 내부 속에 도포하는 치아 미백술이다.

다시 말하면, 치아미백술은 크게 '자가 치아미백(홈블리칭)', '전문가 치아미백(오피스블리칭)' 그리고 '실활치 치아미백(워킹블리칭)' 등 3가지가 있는 셈이다. 하지만 포셀린이라고 하여 치아색으로 씌운 치아나 레진 같은 치아색으로 떼운 치아부분은 어떤 방법으로도 치아미백이 되지 않는다.

원하는 정도 수준까지의 치아미백을 위해서는 보통 평균적으로 자가치아미백의 경우 하루 2시간 이상씩 3-4주, 전문가치아미백의 경우 3-6회 내원, 실활치 치아미백의 경우 1회 치과내원으로 2-3주정도 소요된다.

또 원하는 수준의 미백효과를 위해서는 어떤 종류의 치아미백을 하던지 간에, 미백제의 종류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얼마나 충분한 시간을 지속적으로 치아 전체 표면에 걸쳐서 도포되는지가 더욱 중요하다.

자가 치아미백의 핵심 포인트는 세 가지가 있는데 첫째는 치아전체표면에 균일한 두께로 골고루 치아미백제가 도포되어야 한다. 또한 타액이나 기타 이물질과 섞이지 않고 오염되지 않도록 완벽히 밀봉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치열과 치아의 크기가 사람마다 다르기에 자신에게 맞는 치아모양틀이 필수적이다.

둘째는 치아미백제가 치아전체표면에 도포되어 효과가 충분히 발휘하게 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2시간 이상 연속적으로 장치를 착용하여야 하며, 그 기간에 치아전체표면과 완벽히 밀봉되어 탈락되지 않는 게 중요하다. 이 역시 치열과 치아의 크기가 사람마다 다르기에 자신에게 맞는 치아모양틀이 필수다.

셋째는 치아의 뿌리가 미세하게 노출되어있는 경우 자칫 치아미백제로 인해 치아의 민감도가 증가하며 찬물에 매우 시릴 수가 있는데,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치아 뿌리 쪽에는 미백제가 도포되는 것을 막아야 한다. 물론 여기서도 치열과 치아의 크기가 사람마다 다르기에 자신에게 맞는 치아모양틀이 필요하다.

헤드  [2009-05-13]
이빨 잘 닦으시오..
 
로그인한 사용자만이 KP댓글을 입력하실 수 있습니다. 로그인 및 회원가입버튼은 상단우측에 있습니다.
소셜 로그인을 통해 댓글 입력이 가능합니다. 밑의 기능을 참고해주세요.
blog comments powered by Disqus
 
번호
제목
작성자
등록일
조회
1475
오이
2010/05/23
5680
1474
밭갈이
2010/05/22
6781
1473
밭갈이
2010/05/22
3720
1472
쪽제비
2010/05/22
7133
1471
피부질환
2010/05/22
9036
1470
쏘리쏘리
2010/05/22
6815
1469
아리보이
2010/05/22
7210
1468
BEE
2010/05/21
6742
1467
아토피
2010/05/21
8036
1466
세정정도
2010/05/21
7807
1465
쾌활
2010/05/21
7361
1464
피캬츄
2010/05/21
7690
1463
식용유대신쓰는거?
2010/05/21
6180
1462
곡물이야기
2010/05/21
7768
1461
오늘하루는
2010/05/21
6520
1460
갈갈이형제
2010/05/21
7415
1459
궁금증
2010/05/20
7189
1458
푸른바다저멀리
2010/05/20
6007
1457
닭도리탕
2010/05/20
8399
1456
너구리
2010/05/20
78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