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로 검색하세요
달라스 생활 길잡이, 코리아포탈이 함께합니다
제목
  동맥경화의 식이요법은 어떻게 하나?
작성자
lena
작성일
2012-03-22
조회
6795

동맥경화의 식이요법은 어떻게 하나?

1) 현미잡곡밥과 신선한 채소, 과일, 해조류 위주의 자연식 식생활을 하도록 한다. 비타민A,C,E 나 셀레늄, 폴리페놀 등 항산화 영양소와 섬유질이 풍부한 신선한 채소와 과일을 충분히 섭취하고 1주일 최소한 2회는 등푸른 생선을 먹는다. 
2) 과식은 심장에 부담을 주므로, 음식은 규칙적으로 소량씩 천천히 들도록 한다. 
3) 지방 섭취를 줄이는 대신 식물성 기름과 견과류 등을 조금씩 섭취하면 콜레스테롤이 동맥벽에 쌓이는 것을 줄여 주고, 산소 공급을 도와 심장 근육을 강화시킨다.
4) 짜게 먹지 말고 가공식품의 섭치를 줄인다.
 
# 운동방법
1) 자기의 최대 운동강도의 50% 이상으로 운동을 시작해 운동강도를 서서히 높여 가는데, 처음 4주간은 다소 낮은 강도를 유지하다가 점차 운동강도를 높여 최종적으로 맥박수의 70%~80%가 될 떄까지 훈련을 하는 것이 좋고 운동시간은 20분부터 시작해 하루 40~50분 정도 할 수 있도록 점진적으로 늘려나가는 것이 좋다. 
 
2) 종목은 주로 전신을 쓰는 걷기, 조깅, 수영, 등산 등 유산소 운동 중에서 자신의 체력 정도에 맞춰 선택하도록 한다. 동맥경화가 이미 심각할 정도로 많이 진행된 상태라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운동하도록 하며, 다소 약한 강도로 30분~1시간 정도 운동시간을 좀 길게 잡는 것이 바람직하다. 운동의 횟수는 적어도 1주일에 3일 이상은 해야만 효과가 있으며 5~6일 운동하는 것이 좋다. 단 운동중에 호훕곤관이 있거나 가슴이 죄듯이 아프거나 어지럼증, 가슴이 불규칙하게 두근거리는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운동을 즉시 중단하고 전문의와 상의해야 한다.  단 운동 중에 호훕곤란이 있거나 가슴이 죄듯이 아프거나 어지럼증, 가슴이 불규칙하게 두근거리는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운동을 즉기 중단하고 전문의와 상의해야 한다.
 
음주와 흡연은 동맥경화의 적
흡연은 동맥경화에 해로운 것이 확실핟. 흡연자들의 관상 동맥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은 전반적으로 비흡연자들보다 70%나 높다. 또한 흡연은 뇌혈관 질환의 발생 가능성과 뇌졸중 위험을 증가시킨다. 흡연은 다리에 있는 동맥에 생기는 질환과도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다리의 괴저와  절단을 가져올 수 있는 이 질환으로 고통받는 환자의 95% 정도는 흡연자이다. 그러나 1년만 끊으면 동맥경화성 질환 발생에 관한 위험도가 담배를 
 
지나친 음주는 민감한 사람들의 경우 혈압과 트리글리세라이드치를 지나치게 높여서 건강에 해로운 콜레스페롤인 저밀도 지단백질의 혈중치를 상승시킨다. 또한 관상 동맥질환의 발생을 축시시킨다.

 
로그인한 사용자만이 KP댓글을 입력하실 수 있습니다. 로그인 및 회원가입버튼은 상단우측에 있습니다.
소셜 로그인을 통해 댓글 입력이 가능합니다. 밑의 기능을 참고해주세요.
blog comments powered by Disqus
 
번호
제목
작성자
등록일
조회
1995
ondolusa
2011/04/03
11826
1994
박 훈정 AGLA
2011/03/29
14471
1993
chaga
2011/03/25
15497
1992
송한방원
2011/03/21
15168
1991
송지연
2011/03/21
17471
1990
슈퍼 네추럴
2011/03/20
14602
1989
알칼리
2011/03/20
14608
1988
이온
2011/03/20
14159
1987
이온
2011/03/20
12995
1986
이온
2011/03/20
12646
1985
cha jun
2011/03/16
15072
1984
황금당구
2011/03/15
12993
1983
평생건강
2011/03/06
16755
1982
조기건강검진
2011/03/06
13606
1981
임수경
2011/03/05
17747
1980
지수원
2011/03/01
10810
1979
한수진
2011/02/24
13559
1978
영클리닉
2011/02/24
14652
1977
성심한방
2011/02/23
14304
1976
한미종합보험
2011/02/22
118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