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로 검색하세요
달라스 생활 길잡이, 코리아포탈이 함께합니다
제목
  카레는 국민의 영양실조를 예방
작성자
카레국물
작성일
2010-06-04
조회
7205

카레는 오래 전 인도에서 피폐해진 국민의 영양실조를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하여 개발 되었다고 한다.


입맛이 당기는 강한 향기와 입안 가득 퍼지는 부드러운 인도요리 '카레'
'카레'의 어원은 남인도의 타밀어로 '소스'란뜻의 '카리(Kari)' 라는 설이 가장 유력하다.

 

그 외 '향기롭고 맛있다'는 뜻의 힌두어 '투리카리' 가 영국명인 '커리'로 바뀌었다는 설.

석가가 깨달음을 얻은뒤 '카레'란 지역에서 설법을 전할때 나무열매, 풀뿌리 등을 나눠 주었는데 이를 불로장수의 명약으로 생각한 사람들이 지역이름을 붙였다는 설.

 

사람들이 '맛있다'는 뜻의 힌두어 '큐리 큐리' 라고 외친데서 유래했다는 설 등 여러 가지이다.


4대 문명의 발상지이며 5천년의 역사를 지닌 인도요리의 특징은 바로 향신료이다.

열대지방에서는 음식의 부패를 막고 입맛을 돋우느라 향신료를 많이 쓰는 데, 17세기 인도를 통치하던 영국인들은 이 같은 여러 향신료를 섞어 쓰는 인도 요리가 익숙치 않자, 자신들의 취향에 맞는 향신료만을 섞어 대중적인 입맛에 맞게 카레를 만들었다.

 

이것을 초기엔 상류 사회에서만 먹다가 18세기말 카레 분말을 만드는 회사가 생겨나면서 전 유럽으로 퍼졌으며, 2차 세계대전 때 전세 계로 보급되었다.


카레 특유의 노란색은 강황이란 식물에서 나오는 천연색인데, 인도가 원산지이다. 인도인들에게 강황은 만병통치약으로, 이 색소에 있는 성분이 항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카레가 건강식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

 

인도에선 각 가정마다 취향에 맞게 여러 가지 향신료를 직접 섞어 사용하는데, 톡 쏘는 맛을 내는 인도의 믹스 향신료 '마살라'는 우리나라의 된장과 같다.


우리 나라에 카레가 처음 들어온 것은 1940년대 일본을 통해서 다 일본은 서양에서 커리를 들여와 카레라이스라는 음식을 만들어 대중화 시켰는데, 아이가 있는 가정에선 보통 일주일에 한 번은 카레라이스를 만들어 먹을 정도로 세계적으로 카레를 즐기는 나라다.

 

카레요리는 세계 각국과 지방마다 특색 있게 변형, 발전되었다. 향신료와 재료 를 얼마나 조화롭게 쓰느냐가 카레요리의 비법이며, 카레스프, 카레지짐이, 카레 구이, 카레샐러드, 카레피클 등 그 종류도 다양하다.


(출처 : 카레의역사)

호박써리  [2010-06-04]
영양탕이죠
 
로그인한 사용자만이 KP댓글을 입력하실 수 있습니다. 로그인 및 회원가입버튼은 상단우측에 있습니다.
소셜 로그인을 통해 댓글 입력이 가능합니다. 밑의 기능을 참고해주세요.
blog comments powered by Disqus
 
번호
제목
작성자
등록일
조회
1895
헬스라이프
2010/09/24
11426
1894
헬스라이프
2010/09/24
12759
1893
헬스라이프
2010/09/24
11489
1892
헬스라이프
2010/09/22
12131
1891
헬스라이프
2010/09/22
11211
1890
목욕
2010/09/21
11948
1889
건강
2010/09/21
11424
1888
눈건강
2010/09/20
12418
1887
눈 건강
2010/09/20
11053
1886
2010/09/18
11152
1885
과식
2010/09/18
12258
1884
헬스라이프
2010/09/17
12347
1883
헬스라이프
2010/09/17
10835
1882
헬스라이프
2010/09/17
16285
1881
보약
2010/09/15
17690
1880
호르몬
2010/09/15
15542
1879
일건강
2010/09/09
13413
1878
면역력
2010/09/08
12268
1877
소음인
2010/09/08
15666
1876
여성 피로
2010/09/07
176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