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로 검색하세요
달라스 생활 길잡이, 코리아포탈이 함께합니다
제목
  먹지 않는 아이들은 '비위' 약하다
작성자
곡물이야기
작성일
2010-05-21
조회
8855

무엇이든 잘 받아먹고 쑥쑥 자라는 아이를 보는 일만큼 즐거운 일은 없다. 하지만 반대로 잘먹지 않는 아이를 보는 엄마의 마음은 너무나 고통스럽다. 뚜렷한 이유 없이 잘먹지 않는 아이를 위한 속시원한 한방요법. 아이 건강을 위한 한방 육아법 이다.

▶ 신동의보감 육아법

"우리 아이가 너무 안 먹어서요…." 한방 소아 진료실을 찾는 엄마들이 가장 많이 호소하는 증상 중의 하나다. 다른 아이들처럼 배고프다고 보채기는커녕 겨우 떠먹인 밥을 입에 물고선 삼키지도 않는 아이, 조금만 억지로 먹였다 싶으면 "왝" 하고 구역질하는 아이…. 게다가 뒤쳐지는 성장과 점차 늘어만 가는 감기 횟수는 엄마의 심정을 더욱 안타깝게 만든다. 병원을 찾아도 아무 이상이 없다는 말만 들을 뿐 특별한 방법이 없어 답답한 경우가 많다. 이처럼 아이들이 분유나 밥을 잘 먹지 않는 '식욕 부진' 현상을 한의학에서는 예로부터 오식증, 혹은 염식증이라고 부른다.

▶ 먹지 않는 아이들은 '비위' 약하다

잘먹지 않는 아이들은 나름대로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먼저 젖먹이인 경우 한 번에 먹는 양이 너무 적고, 도통 먹지 않다가 잠이 들 때만 조금 먹으며, 토하거나 설사를 잘하고, 잠을 잘 자지 못하며, 얼굴에 화색이 없고 체중이 제대로 늘지 않는 유형이 많다.

이유식이나 밥을 먹기 시작한 아기의 경우는 음식을 오래 씹고 잘 안 삼키려고 하는데, 심하면 혀로 음식을 밀어내버리기도 한다. 트림이나 구역질도 자주 하고, 냄새에 민감하며, 조금만 더 먹어도 헛배가 불러 배가 빵빵해지고, 배 아프다는 소리를 자주 한다. 이런 상태가 오래 지속된 경우는 다른 아이들에 비해 키가 작고 감기를 앓는 횟수도 많아지는데, 이는 충분한 영양 섭취가 되지 않아 면역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나타나는 자연스런 현상이다.
이처럼 잘먹지 않는 까닭은 '비위'의 기능이 저하되었기 때문이다.

한의학의 최고 경전인 황제내경에 따르면 '비위는 오장육부의 바다와 같은 곳으로 인체의 모든 기관들이 위장에서 기를 받는다'고 했으며, 또 '곡식을 저장하는 곳간과 같은 곳으로 신체를 기르는 모든 영양이 이곳에서 나온다'고 하였다. 이러한 기능적인 특성 때문에 비위는 '후천의 근본'이라고도 한다. 흔히 타고난 자질이 대단히 좋은 경우 '타고났다'고 하는데, 선천적인 건강을 나타내는 지표를 한의학에서는 뼈와 신장의 기운이라고 한다.

그리고 이 부분은 태어난 후에는 조절하기 힘들다고 본다. 반면 비위는 아이가 커가는 데 필요한 영양을 골고루 배분해주는 역할을 하는 곳으로, 비위의 기능이 좋아야 타고난 자질만큼 충분하게 성장할 수 있다.

글/ 함소아한의원

 
로그인한 사용자만이 KP댓글을 입력하실 수 있습니다. 로그인 및 회원가입버튼은 상단우측에 있습니다.
소셜 로그인을 통해 댓글 입력이 가능합니다. 밑의 기능을 참고해주세요.
blog comments powered by Disqus
 
번호
제목
작성자
등록일
조회
495
기이린이
2009/06/29
4836
494
송아지
2009/06/29
5250
493
우루사
2009/06/28
4860
492
하얀이
2009/06/28
4692
491
외갓집
2009/06/27
5107
490
건강하게살자
2009/06/26
6323
489
하이고
2009/06/26
2783
488
오호..
2009/06/26
5276
487
헬스야놀자
2009/06/25
5581
486
필요해..
2009/06/25
5488
485
건강
2009/06/25
5917
484
건강
2009/06/25
4732
483
예의동방지국
2009/06/24
5216
482
건강소녀
2009/06/24
5043
481
건강소녀
2009/06/24
3444
480
김도형
2009/06/24
9004
479
러블리
2009/06/23
5884
478
zigzag
2009/06/23
5554
477
기우
2009/06/22
2081
476
가부키
2009/06/22
57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