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 생활 길잡이. 코리아포탈이 함께합니다.
Web Analytics
 
작성일 : 23-01-13 04:02
프로게이머 된 65세 컴맹 할머니… 뇌 퇴화 시기 언제길래
 글쓴이 : 이하연
 
불과 1년 전까지 컴퓨터에 대해 몰랐던 65세 여성이 인기 게임 ‘리그오브레전드’ 선수로 나서 화제다. 통상 65세는 뇌가 퇴화하는 시기로 받아들여진다. 그런데 생전 처음 접한 분야에서 실력을 쌓고 고수가 되는 게 가능할까?

게이머 된 컴맹 65세, “지고 싶지 않다는 각오”
최근 AP통신의 보도에 따르면 65세 대만 여성 창이수 씨는 올여름 결성된 훙광에버그린게임단의 선수다. 해당 팀은 훙광과기대 멀티미디어 게임 개발 응용학부의 황젠지 교수가 62~69세 노인들을 모아 창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창이수 선수는 “솔직히 나는 컴퓨터에 대해 알지 못했고 사람과 교류하는 걸 좋아해서 게임을 배울 생각은 해보지도 않았다”며 “그러나 게임이 두뇌 개발에 좋고 손재주가 필요하다는 것도 깨달았다”고 말했다. 그의 코치에 따르면 창이수 선수는 매주 5시간씩 집에서 연습을 하고, 대회를 위해 일주일에 한 번 1시간 거리를 이동해 훈련에 참가했다.

창 선수가 속한 팀은 대회에서 1회전 탈락했다. 그러나 그는 새로운 기술을 배우고 초기 지식 부족을 극복하는 기회가 됐다고 전했다. 창 선수는 “지고 싶지 않다는 각오가 있어야 한다”며 새로운 기술을 배우고 자신의 한계를 극복하는 과정을 즐긴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뇌 퇴화 시점 정해져있지 않아, 교정 가능 요인 관리해야…
사람은 나이가 들수록 뇌가 퇴화한다고 알려져 있다. 인지기능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인지기능은 기억력, 언어력, 지남력, 수리력 등으로 구성되는, 뇌가 정보를 처리하는 능력이라고 볼 수 있다. 그 기반은 유동지능과 결정지능의 다양한 조합이라고 알려져 있다. 유동지능이 선천적인 뇌 기능으로 정보 처리 속도와 관련이 깊다면, 결정지능은 교육, 경험 등 후천적으로 습득한 지식과 관련이 깊다. 나이가 들수록 인지기능이 떨어지는 까닭은 뇌가 습득한 전기신호를 처리할 신경세포의 수와 뇌 용량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그러나 인지기능의 저하 시기는 따로 정해져있지 않다. 어떤 사람은 운동을 멀리하고 술·담배 등 혈관 건강에 치명적인 습관을 교정하지 않아 젊은 나이에 인지기능 저하를 겪는 반면, 80세가 넘어서 책을 쓰는 사람도 있다. 실제 결정지능이 80세까지 유지됐다거나 70대의 뇌 용량이 40대와 비슷했다는 증례 연구들이 많다. 전문가들은 연령을 기준으로 인지기능 저하 시점을 판단하는 건 어렵다고 말한다.

결국 중요한 건 인지기능 저하를 막기 위한 개인의 노력이라 볼 수 있다. 새로운 활동이 뇌 노화를 낮춘다는 연구 결과가 많다. 새로운 취미 3개만 가져도 뇌 연령이 30년 줄어든다고 한다. 물론 뇌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혈관 건강을 위해 꾸준하게 운동하고 술·담배는 끊어야 한다. 고혈압 등 만성질환 관리도 필수다. 이렇게 교정 가능한 위험 요인들을 꾸준히 관리한다면 창이수 선수처럼 나이가 들어도 새로운 분야에서 적응할 수 있다.



Advertisement